2023/12 2

분자진단기술을 이용한 질병위험관리, 그리고 암 진단 및 암 관리

분자진단기술을 이용한 질병위험관리 질병관리를 위해서는 손자병법에 나오는 '지피지기면 백전불태'라는 말처럼 상대를 알고 나를 알면 백 번 싸워도 위태롭지 않다는 뜻으로, 즉 상대방과 나의 강점 및 약점을 파악하고 싸움에 임하면 승산이 있습니다. 이를 질병관리 측면에 적용하여 보면 환자의 게놈, 즉 유전정보는 미래에 질환이 발병할 확률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적 돌연변이 또는 무작위 돌연변이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린치 증후군은 환자가 대장암이나 기타 암에 걸리기 쉬운 유전적 질환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린치 증후군을 유발하는 유전자의 조기 발견은 환자에게 양호한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심혈관 위험은 생물학적 마커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특히 ..

과학기술 2023.12.13

분자진단의 기술 분야

분자진단의 어세이(Assays)란 분자진단은 PCR-ELISA 또는 FISH(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와 같은 in vitro 생물학적 분석을 사용합니다. 이러한 어세이는 molecule이라 하는 분자, 특히 저농도의 분자를 검출할 수 있고, 이 분자는 환자로부터 채취된 샘플에서 질병 또는 위험성을 나타내는 마커입니다. 이러한 분석을 위해서는 분석 전 샘플의 저장이 중요하며, 특히 손으로의 조작은 최소한으로 줄여야 합니다. 특히, 분자 중의 하나인 RNA 분자는 손상받기 쉽기 때문에 다루는 것에 몇가지 어려움이 있습니다. 세포 내에서 RNA는 유전자를 단백질로 발현시키는 과정에서 유전자 발현 척도를 제공하지만, 세포에는 RNAse라는 RNA 가수분해 효소가 있어서 R..

과학기술 2023.12.01